지하철 안내방송 안 들려 도착역 놓치기 십상
지하철과 도시철도는 시민의 발이 돼 목적지에 적시에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대표적인 교통수단이다.
버스나 택시와 달리 교통체증에 비교적 자유로워 정시성과 신속성이 높다.
정차역에 도착할 때 즈음 전동차승무원업무예규에 따라 도착역과 환승 안내를 하도록 돼있다.
위 사례처럼 지하철 열차별, 열차 내 칸별 소음과 스피커 상태에 따라 안내방송 소리 크기가 너무 작은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이나 저청력 청각장애인 등이 제 때 내리지 못하는 불편함이 나타나 문제가 되고 있다.
철도차량의 소음권고기준과 검사방법 등에 관한 규정에서는 권고 주행소음 기준 최대 92dB(데시벨)로 규정하고 있다.
소음이 심하면 90~100dB 이상으로 시끄러워지기도 하며, 이는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서 언급하는 난청 증상 발현 구간이다.
안내방송에 의지하는 시각장애인이나 저청력 청각장애인 등 장애인의 목적지 하차를 어렵게 만든다.
비단 시각장애나 청각장애만의 문제가 아니다. 휠체어 이용 장애인은 앉은키가 작아 스크린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소리에 집중해야한다.
언어장애가 있는 뇌병변장애인은 타인에게 역을 확인하기 어렵다.
비장애인도 겪고 있는 문제이며 안내방송에 의지하는 장애인에게는 더욱 중요하고 심각한 문제다.
안내방송이 없으면, 정차하는 찰나의 순간에 주변 정보를 통해 역 정보를 알아내야 한다.
시간이 짧아 주변 정보를 획득하기에 어려운 순간들이 훨씬 많다.
안내방송에 대한 민원은 지속적으로 제기돼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서울교통공사의 보도자료 ‘작년 서울지하철 민원 92만 건…냉난방과 마스크가 최다(2021.2.20)’에 따르면,
전동차 냉·난방, 열차 내 질서 저해 등 지하철 이용 시 나타나는 대부분의 문제가 전년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안내방송 관련 민원은 다른 민원들의 감소폭(2,500~15,800건)에 비해 소폭 감소(17건)했다.
이제는 지하철 안내방송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난청 문제가 개선돼야 한다.
장애인제도개선솔루션은 서울교통공사 산업안전처에 지하철 호선별 심각한 소음(92dB) 구간과 시간대를 전수 조사,
승무지원처에 지하철 소음 대비 안내방송 데시벨에 대한 규정 마련, 육성방송 시 발음 및 발성에 대한 기관사와 승무원 교육,
차량운영처에 지하철 열차 내 스피커 정기 점검과 수리 관련 규정 마련할 것을 요청했다.
박찬균 allopen@bokjinews.com